본문 바로가기

참좋은금융소식

그린 경제가 대세인 이유는? [글로벌 이슈] Posted by 안영진 SK증권 리서치센터 이코노미스트 ‘그린 경제’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그린이라는 단어에서 유추할 수 있듯, 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된 용어인데요. 그린 경제는 현재 전세계 경제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간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린 경제를 이해하고 있어야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되겠죠? 그럼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 그린 경제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이유 2020년 세계 경제는 코로나라는 변수로 인해 침체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을 가리켜 ‘블랙 스완(Black swan)’이라고 하는데요. 백조는 하얗다는 상식과 달리 검은색 백조에 비유해 극히 예외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그린 스완(Green swan)’이라는 용어도 국제기.. 더보기
바이든이 이끄는 미국, 한국 경제의 미래는? [글로벌 이슈] Posted by 임재호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지속성장연구실장 트럼프의 대선 불복 등 여러가지 잡음이 있었지만 미국의 46대 대통령은 민주당의 조 바이든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새 대통령의 공식 임기도 지난 1월 20일 취임식부터 시작되어 벌써 언 1개월이 지났는데요. 우리가 미국의 정치 상황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는 미국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기 때문입니다. 바이든이 이끄는 새로운 미국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 바이든 당선, 한국 경제에 호재일까? 가장 우호적인 시나리오는 미국 경기가 개선되면서 글로벌 교역물량도 확대되고 우리나라 경제도 동반개선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기대감 속에는 바이든 정부의 핵심적인 경제정책 중 하나인 'Build B.. 더보기
2021년 금융 트렌드와 투자전략 Posted by 신균배 우리은행 자산관리그룹 본부장 매년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에서는 그 해의 소비 트렌드를 연구하여 발표합니다. 올해 소비자트렌드 10대 키워드 중에서는 『자본주의 키즈(We are the Money-friendly Generation)』 가 눈에 띄는데요. * 자본주의 키즈(We are the Money-friendly Generatioin) :어릴 때부터 광고, 시장, 금융 등 자본주의적 요소에 친숙하고 자본주의 생리를 몸으로 체득한 세대. 젊은 세대 뿐만 아니라 IMF 경제위기 이후 자본주의 논리에 익숙해진 기성세대 중에도 이러한 성향을 갖고 있는 부류도 포함. | 돈과 소비에 대한 편견이 없는 세대 젊은 자본주의 키즈의 투자 활동은 다양한 영역에서 관찰됩니다. 작년 한 해 동.. 더보기
오팔(OPAL)세대와 시니어 금융[금융 이슈] 2020년, 건강하고 활동적인 중장년층을 뜻하는 '액티브 시니어(Active Senior)'는 인구 구조 변화와 함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잡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트렌드코리아2020'에서 주목할 만한 트렌드 중 하나로 'OPAL 세대'가 등장했습니다. *OPAL(Old People with Active Senior) 세대: 자신을 위해 아낌없이 소비하고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5060세대를 지칭하는 신조어. 베이비붐 세대를 대표하는 '58년 개띠'의 '58'을 의미. 오팔 세대가 기존 시니어와 다른 점은 미래지향적이고, 경제력을 바탕으로 인생 2막 설계에 적극적인데요.이러한 변화에 맞춰 노후 자산관리 전략도 기존의 '곳간형'(노후의 자금을 마련하여 은퇴 전에 채워 놓는 형태)에서,이제는 '우물형'(.. 더보기
부동산 규제지역 주택구입 시 알아두어야 할 꿀팁[부동산 이슈] Posted by 함영진(주)직방 빅데이터랩장 최근 6·17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관리방안'과 7·10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 등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수요억제책이 연이어 발표됐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주택자와 부동산 단기거래자 등 투기수요에 대한 세제와 여신기준을 강화하고,청약 당첨을 실수요자 위주로 관리하기 위해 각종 규제지역의 확대와 진입 허들을 높이는 대책이핵심을 이루고 있는데요. 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규제지역인 조정대상지역과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의 부동산 정책을 통해 주택구입과 매각, 아파트 청약 시 주의할 점은 없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의 부담 증가 조정대상지역은 주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와 아파트 청약규제가 집중되어 있습니다.투기과열지구는 주택가격 상승.. 더보기
11월 3일 미국 대선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 투자와 선거의 경제학 [글로벌 이슈] Posted by 안영진SK증권 리서치센터 이코노미스트 선거는 시민들이 투표로 정치에 참여한다는 의미와 함께 그 결과에 따라 정책 노선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오늘은 선거가 갖는경제적 중요성에 주안을 두고 살펴보고자 하는데요. 향후 경제가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예상해보고, 공약 사항을 통해 투자 아이디어도 얻어보시길 바랍니다. | 선거는 정책을, 정책은 경제와 금융시장을 좌우한다 경제학(Economics)의 시작은 18세기 정치경제학(Political-economics)에서 비롯되었는데요. 말 그대로 정치학(Politics)에서 파생된 분야였습니다. 그 후 경제학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시장 기능을 최우선시해 정부가 최소한으로 개입해야 함을 강조하기도 했고, .. 더보기
당신의 투자가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새로운 시대의 트렌드 - 임팩트 투자 [핫이슈] Posted by 임재호우리금융경영연구소 지속성장연구실장 '임팩트 투자(Impact Investment)'라고 들어 보셨나요? 생소하다고요? 그럼 혹시 테슬라(Tesla)는? '친환경' 트렌드를 앞세워 전기 자동차의 대세로 자리 잡았고, '자동차 업계의 애플(Apple)'로 불리는 여러분들이 알고 있는 그 차가 맞습니다. 테슬라를 알고 있다면 임팩트 투자를 이해하기 위한 준비의 50% 이상은 마친 것입니다. | 임팩트 투자란 무엇인가? 지금 테슬라는 AT&T, 버라이즌(Verizon), 디즈니, 인텔 등 이름만 들으면 알 수 있는 기업들을 능가하는 미국 내 시가총액 기준 15위 상장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그러나 10여 년 전만 해도 CEO인 엘론 머스크(Elon Reeve Musk)는 사업자금을 모으기 위.. 더보기
불안한 미래, 무엇이 나를 지켜줄까? 코로나 바이러스와 연금투자 전략 [보험트렌드] Posted by 전용식보험연구원 연구위원 최근 코로나19가 재확산 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격상되었습니다. 계속되는 바이러스 감염 확산으로 불안한 마음은 쉽게 잦아들지 않고 있는데요. 이러한 변화는 금융 및 보험 트렌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더욱 커지는 미래에 대한 불안 경제적 측면의 불확실성보다 더 심각한 것이 불안(Anxiety) 심리 확대 입니다. 바이러스 감염 위험, 경제활동 위축과 회복의 불확실성은 사람들의 불안심리를 확대시키고 있는데요. 바이러스 감염, 경제위축에서 비롯된 불안 심리는 건강이나 은퇴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래의 불안을 줄이기 위해 안전자산 비중을 늘려 위험을 적극적으로 회피하려고 할 수 있으며, '부동산 불패'라는 고정관념에 따라.. 더보기